20여 명이 다치고 차량 80여 대가 불에 탄 인천 청라 아파트 지하주차장 전기차 화재. <br /> <br />밀폐된 지하 공간에서 시작된 불이 순식간에 다른 차량으로 옮겨붙으면서 피해가 커졌습니다. <br /> <br />그렇다면 좁은 공간에 차량 최대 수백 대를 싣고 바다를 건너는 선박은 어떨까? <br /> <br />현재 적재된 전기차에서 불이 날 경우, 배 위에서 이를 진화할 방법은 사실상 없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. <br /> <br />해양수산부가 민주당 서삼석 의원실에 제출한 자료를 보면, 차를 나르는 차도선과 여객선 150척 가운데 전기차 화재 전용 장비인 '상향식 물 분사 장치'와 '이동식 수조'를 비치한 배는 단 한 척도 없었습니다. <br /> <br />내연기관 차량과 달리 전기차에서 난 불은, 물 분사 장비로 배터리에 물을 강하게 쏘면서 튜브처럼 생긴 이동식 수조에 배터리를 담가야 진화됩니다. <br /> <br />선박 내부가 비좁아 현실적으로 전용 장비를 설치하긴 어렵다는 게 현장의 목소린데, <br /> <br />정부는 대신 산소를 차단하는 '질식소화 덮개'를 보급하겠단 방침이지만, 이 덮개를 보유한 배는 27척, 18% 수준에 불과합니다. <br /> <br />이마저도 화재 초기 단계에서 시간을 버는 용도일 뿐인 데다, 사람이 직접 덮개를 차량에 씌워야 해 실효성이 떨어진다는 지적입니다. <br /> <br />[김필수 / 대림대 자동차학과 교수 : 산소를 차단해서 확산을 어느 정도 유지하는 기능이지 불을 끄는 기능은 아닙니다. 어느 정도 (불이) 붙은 상태에서는 질식 소화포는 의미도 없고 덮을 수가 없어요. 사람이 접근을 못 하니까.] <br /> <br />항만도 전기차 화재의 사각지대로 드러났습니다. <br /> <br />국가관리 항구 26곳 가운데 전기차용 소방 장비를 보유한 곳은 다섯 곳. <br /> <br />그마저도 물 분사 장치나 이동식 수조가 아닌 리튬배터리 전용 소화기와 이동식 분말소화기 등이었습니다. <br /> <br />바다 위 전기차 화재에 뚜렷한 대책이 없는 셈인데, 일각에선 여객터미널에 배터리 관리 시스템, BMS를 도입해 전기차 배터리 상태를 점검하는 방안이 대안으로 제시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[서삼석 / 더불어민주당 의원 : (해양수산부는) 모든 항만과 여객선에 소방장비 보급을 비롯한 선적 전기차 배터리 안전 점검 시스템 도입 등 행정적, 제도적 장치 마련에 적극 힘써야 합니다.] <br /> <br />해양수산부는 전용 장비인 상향식 물 분사 장치 보급을 내년까지 확대해 나가고, BMS 시스템 도입 여부도 검토한다는 방침입니다. <br /> <br />YTN 손효정입니다. <br /> <br />촬영기자ㅣ이상은 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34_202409161236264228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